영상을 다루다보면 확장자를 빼놓을 수가 없는데요, 가장 많이 사용하는 mp4와 달리 특히나 애플 기기에서 hevc 파일을 많이 사용하는데, 과연 둘은 무슨 차이가 있을지 살펴봅니다.
MP4와 HEVC 파일 형식의 차이
MP4 (MPEG-4 Part 14)와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265)는 서로 다른 개념의 비디오 형식인데요, MP4는 파일 컨테이너 형식이고, HEVC는 비디오 압축 코덱입니다.
이 두 형식의 주요 차이점은 아래 내용들을 보면 좀 더 이해가 빠릅니다.
1. 정의 및 역할
- MP4: MP4는 비디오, 오디오, 자막 및 기타 데이터(예: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파일 컨테이너 형식입니다. 다양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널리 사용되는 형식 중 하나입니다.
- HEVC: HEVC는 비디오 압축 코덱으로, H.264의 후속 버전입니다. HEVC는 더 높은 압축 효율성을 제공하여 동일한 품질의 비디오를 더 작은 파일 크기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4K 및 8K 해상도 비디오에서 유리합니다.
2. 압축 효율성
- MP4: MP4 파일은 H.264와 같은 코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디오 품질과 파일 크기 간의 균형을 잘 유지합니다. 그러나 HEVC에 비해 압축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 HEVC: HEVC는 H.264보다 약 50% 더 나은 압축 효율성을 제공하여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대역폭이 제한된 환경에서 특히 유리합니다.
3. 호환성
- MP4: MP4는 거의 모든 플랫폼과 장치에서 지원되며, 다양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MP4가 매우 호환성이 높은 형식임을 의미합니다.
- HEVC: HEVC는 최신 장치에서 점점 더 많이 지원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구형 장치나 소프트웨어에서는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EVC를 사용하려면 하드웨어 가속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사용 사례
- MP4: MP4는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리밍, 다운로드 및 저장에 널리 사용됩니다. 유튜브, 비메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기본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 HEVC: HEVC는 고해상도 비디오(예: 4K, 8K)에서 주로 사용되며, 대역폭이 제한된 환경에서 비디오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이는 데 적합합니다.
그래서..
MP4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형식이며, HEVC는 비디오 압축을 위한 코덱입니다. HEVC는 MP4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높은 압축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아직까지는 호환성 측면에서는 MP4가 더 널리 지원됩니다. 하지만 갈수록 h.265 및 hevc 코덱의 사용률이 높아지고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