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세 계산하는 방법, 자동차세 계산기

나의 자동차세는 얼마일까요? 자동차세를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자동차세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알아봅니다.

자동차세 계산의 모든 것

자동차세 계산 기본 공식

자동차세의 기본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배기량 × cc당 세액) + 지방교육세(30%)

배기량별 세율 (비영업용 승용차 기준)

자동차세는 기본적으로 배기량에 따라 세액이 달라집니다. 아래는 배기량 별 CC당 세액을 정리한 표입니다.

배기량cc당 세액
1,000cc 이하80원
1,600cc 이하140원
1,600cc 초과200원

자동차세 계산 예시

예를 들어 자동차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2022년에 등록한 1,580cc 비영업용 승용차의 2025년 자동차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1. 기본 세액 계산: 1,580cc × 140원 = 221,200원
  2. 지방교육세 계산 (기본 세액의 30%): 221,200원 × 30% = 66,360원
  3. 총 세액: 221,200원 + 66,360원 = 287,560원

따라서, 이 차량의 2025년 예상 자동차세는 287,560원입니다.

차령에 따른 경감

차령이 3년 이상인 경우, 매년 5%씩 최대 50%까지 세액이 경감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차량이 4년차라면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 287,560원 × (1 – 5%) = 273,182원

자동차세 계산기 사용 방법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세 계산기를 이용하여 자동차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 자동차세 계산기 바로가기

위 버튼을 눌러 위택스의 지방세 미리계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상단 탭 중 자동차세(소유) 버튼을 누르면 바로 자동차세 계산기가 실행됩니다.

  1. 차종구분 선택하기
  2. 차량용도 선택하기
  3. 최초등록일 입력
  4. 과세연도 입력
  5. 배기량 입력
  6. 세액미리계산하기 버튼 클릭하여 계산 완료

자동차세 감면 및 특별 사항

  • 차령에 따른 경감: 3년차부터 매년 5%씩 최대 50%까지 경감됩니다.
  • 전기차 및 수소차: 2024년 기준 연간 130,000원의 특별 세율이 적용됩니다.
  • 연납 할인: 1월에 연간 세액을 미리 납부하면 약 9.15%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하기

주의사항

  • 자동차세는 보통 연 2회(6월, 12월) 납부합니다.
  • 납부 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이 부과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정확한 세액 확인을 위해서는 관할 시군구 담당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세액은 관련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